"GDP대비 비금융기관 부채 수준 높아"
"기업 차입 확대, 부동산으로 쏠려"
advertisement
[아시아타임즈=유승열 기자] 이일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한국의 금융불균형 수준이 여전히 높다며 최근 기준금리 인하 요구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일형 위원은 2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융불균형 누증 속도는 확실히 줄어들었다"면서도 "수준 자체가 아직 높아서 안전지대에 왔다고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이 위원은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GDP)대비 비금융기관의 부채 수준이 높다는 점에서 금융불균형 누증 가능성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불균형은 부채 발생 비용보다 부채 활용에 따른 수익을 과대 전망할 때 발생한다. 집값 상승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가계, 기업이 늘어나며 집값이 뛰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그는 차입 확대로 금융불균형이 형성되면 단기적인 경제적 편익보다 중기적인 비용이 커지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확대된 금융자산의 가치가 재조정될 때 금융기관들이 상호 보증이나 대출로 연계될 경우 신용·유동성 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다"며 "불균형이 과도하게 누적됐다가 급격하게 조정되면 금융위기가 빚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펀더멘털과 괴리된 실물자산 가치는 낭비적 요소(deadweight)를 발생시킨다"며 "중기적으로 재원 낭비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성장의 하방 압력이 커지고 수요 측면에선 부채 부담에 따른 소비 위축이 나타나게 된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금융불균형 상황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비기축 통화국으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비거주자 자본과 거주자의 해외 자본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비금융기관의 부채는 주요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에서다. 또 GDP대비 총 실물자산의 가치도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점도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최근 몇 년간 가계, 기업들의 레버리지(차입) 확대가 부동산 시장으로 쏠리고 있다는 데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출뿐 아니라 보증, 금융상품, 직접금융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금융기관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익스포저(노출도)가 높아졌다"며 "레버리지를 통한 투자 비용이 부동산 소유에 따른 실질적인 서비스 혜택의 값을 상회하게 되면 그 차이만큼 사회적 손실이 발생한다"고 부연했다.
다만 "금융불균형 누증에 따른 잠재 리스크가 점진적으로 실현될 경우 시장에 의한 자연스러운 재조정 현상으로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폭염 대비 마친 삼성·LG…에어컨 '점검·생산·설치' 준비 끝
KAI “블랙호크 통해 국산 헬기 고도화”…사업 비전 제시
[2025 서울모빌리티쇼] '車도 전시관도 힙해' 로터스, 하이퍼카·스포츠카로 출사표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