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2회 동학농민혁명군추모문화제 열려
제32회 동학농민혁명군추모문화제가 태안동학농민혁명유족회와 태안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주관·주최로 지난달 29일 태안 백화산 ‘갑오동학혁명군추모탑’에서 개최됐다. 이날 개최된 추모문화제는 동학·천도교의 인내천(人乃天) 사상과 보국안민(輔國安民)의 혁명정신을 내걸고 모인 전국의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관계자, 유족회 관계자, 시민, 학생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엄숙하게 진행됐다.
추모문화제는 식전 추모 문화 행사가 마무리 되면서, 사회자의 개식선언과 국민의례, 문영식 태안 유족회장의 청수봉전, 고종남 태안문화원장의 위령문 낭독, 허채봉 동학서훈국민연대 집행위원의 헌시낭독, 정용주 태안군기념사업회장의 기념사, 가세로 태안군수의 추모사가 있었다.
또한 박상종 천도교중앙총부 교령을 대신해 이윤영 전주동학혁명기념관장의 추모사, 신순철 기념재단의 추모사, 주영채 전국유족회장의 추모사, 문영식 태안유족회장의 감사 인사 등이 있었으며, 식후 태안동학농민혁명기념관 관람으로 이어졌다.
동학농민혁명은 1894년 전라도에서 시작된 고부봉기의 도화선으로 무장기포, 백산대회, 장성승전, 황토현 승전, 전주성점령 등으로 동학농민군이 관군을 대파하면서 완전 승기를 잡았다. 또한 일본군과 청군의 외세 개입의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 동학군과 관군은 전주성 전투를 휴전하고 민관상화의 평화협정체제로 전환하였다. 김학진 전라감사와 전봉준 동학군 총대장은 전라도 53군현에 집강소 설치를 협약하고 폐정개혁을 단행하면서 조선은 물론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민주자치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다.
이윤영 전주동학혁명기념관장은 "올해로 32회째를 맞는 추모문화제는, 외롭게 이름도 없이 산화하신 선열들의 영혼을 위로하고, 고귀한 희생정신을 계승하고, 우리가 이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다시 생각하는 소중한 시간과 공간의 장"이라며 "우리는 분열과 대립의 역사를 극복하고, 모두가 한울인 가치를 다시 상기하며, 보국안민의 기치를 드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학혁명은 의병투쟁과 3·1운동 등 항일독립운동의 정신으로 이어졌으며, 대한민국 헌법정신으로 계승되어 살아 숨 쉬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