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21일을 전후해 열릴 것으로 전망되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 고도화 등에 대응한 양국간 ‘전방위 동맹 강화’ 청사진이 나올지 관심이 모아진다.

윤 당선인과 바이든 대통령의 첫 회담은 시기와 성사 경위, 장소 등에서 이전 정부와 다른 점이 많다.

우선 정상회담은 윤 당선인 취임(5월 10일) 후 보름도 되지 않아 ‘초고속’으로 치러진다. 역대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으로선 최단기다.

바이든 대통령은 다음 달 24일께 일본에서 열릴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 협의체) 정상회의 참석차 첫 동아시아 순방에 나선다.

특히 한미 양국은 바이든 대통령이 동아시아를 방문할 때 방일보다 방한 일정을 먼저 수행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방한 일정은 그보다 앞선 21일 전후가 유력하게 거론돼 방일보다 방한이 먼저, 한국 대통령의 방미 먼저가 아닌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통한 첫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미국 대통령들은 그간 첫 동아시아 순방에서 일본 방문으로 일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한국을 먼저 찾는 것은 이례적이다.

미국 대통령의 방한이 먼저 성사된다면 1993년 7월에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해 김영삼 당시 대통령과 만난 이후 29년 만이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국은 핵·미사일 위협 수위를 높이는 북한에 대한 한미의 공동 대응 방안이 정상회담 주된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한미일 3국 협력 강화, 공급망·신흥기술 등 경제안보 분야에서의 한미 협력 강화 등을 통해 한국을 대중국 견제에 동참시킬 수도 있다.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협력도 요청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당선인은 이미 동맹으로서 미국에 협조 강화와 대중국 견제 협의체인 쿼드와 백신·기후변화 분야에서부터 단계적 협력 의사와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해 추진하는 역내 경제협력 구상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도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용산 시대’ 첫 정상회담 장소도 주목된다.

윤 당선인은 5월 10일 취임일부터 국방부 본관 5∼10층 중 임시집무실을 마련해 업무를 시작할 가능성이 큰 만큼 한미정상회담도 임시집무실에서 이뤄지거나 제3의 장소를 물색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

용산 집무실 외 기존 영빈관 격의 연회·행사장 마련도 시급한 과제다. 영빈관을 대체할 만한 후보지로 국방컨벤션센터, 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과 서울 시내 호텔 등도 거론되는 가운데 현재 청와대의 영빈관을 한미정상회담 만찬 장소로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김재득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