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금리 카뱅 연 3.94%, 케뱅 연 3.82%…서민층 빚부담 우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을 중심으로 이용도가 높은 비상금대출의 최저금리가 연 4%를 목전에 두면서 예비차주들의 빚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대출 준거금리인 국채·은행채 등의 금리가 크게 뛰면서 주요 대출상품의 이자부담이 급등한 가운데, 소액대출인 비상금대출 금리도 덩달아 오를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된다. 소액 급전이 필요한 직장인과 소득이 변변치 않은 무직자들이 애용하는 상품인 점에서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뱅과 케뱅의 비상금대출 최저금리는 각각 연 3.94%, 연 3.82%로 4% 돌파를 앞두고 있다. 카뱅의 비상금대출 금리는 이날 현재 연 3.933~14.517%다. 기준금리는 금융채 1년물로 연 1.625%를, 가산금리는 연 2.408~12.892%의 범위에서 각각 적용하고 있다. 중신용자 금리는 연 4.845~11.525%로, 가산금리를 연 3.320~9.900%의 범위에서 적용하고 있다. 

   
▲ 사진=각사 제공


케뱅은 이날 현재 연 3.81~8.67%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신규대출의 경우 기준금리는 금융채 12개월물 연동대출로 1.61%를, 가산금리는 연 2.20~7.06%의 범위에서 각각 적용하고 있다. 

두 은행이 기준금리로 삼고 있는 금융채1년 연동금리는 1년을 주기로 변동돼, 대출기간 중에는 대출금리가 변경되지 않는다. 다만 만기가 도래하면 변경된 기준금리에 연동돼 금리도 덩달아 변경된다.

비상금대출은 최소 50만원, 최대 300만원까지 이용할 수 있는 소액 마이너스통장 상품 중 하나로, 기간연장을 통해 1년 단위로 상환을 연장할 수 있다. 대출한도가 적은 만큼 주로 급전이 필요한 차주나 직장인부터 무직자까지 모두가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비상금대출을 최초 개발한 카뱅을 비롯해 지난 4월 상품을 출시한 케뱅 등 인터넷은행이 이 시장을 주름잡고 있다. 

한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비대면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약관동의·서비스제공동의 과정에서 몇 단계를 거쳐야 한다"며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약관동의·서비스제공동의 등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게 인터넷은행 점유율에 반영된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문제는 당국의 대출규제와 향후 추가 금리인상에 따른 빚부담 증가 우려다. 비상금대출은 최대한도가 300만원인 만큼 타 상품보다 상환부담이 큰 편은 아니다. 하지만 최근 주요 대출상품의 금리가 전방위적으로 급등하고 있어 이 상품을 이용하는 20대나 무직자 등 고정수입이 없는 계층을 중심으로 빚부담이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된다. 

한 은행 관계자는 "지금 언급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라면서도 "최근 시중은행에서는 (마통)대출 만기연장 시 금리가 1%포인트(p) 이상 오른다. (은행들이) 한도를 감액하지 않는 것만 해도 감사하다고 해야 할 실정"이라고 말했다. 

신규로 대출상품을 이용하거나 기존 대출을 연장할 때 금리가 모두 인상되고 있다는 점에서 비상금대출도 곧 이자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두 은행은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당국에 제시한 포용금융 목표치를 맞춰야 한다. 업계에 따르면, 카뱅은 올 연말까지 20.8%, 케뱅은 21.5%를 포용금융 목표치로 맞추겠다고 공표한 상황이다. 연말까지 일정이 촉박해지면서 두 은행은 고신용자 신용대출을 중단·제한하는 한편,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우대혜택을 제공하며 중금리 대출을 집중적으로 늘리고 있다. 당국의 정책목적이 과하게 반영되면서 금융왜곡을 빚어낸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하지만 비상금대출은 규제의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신용점수에 따른 금리차이가 있을 뿐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중·저신용자들이) 그동안 워낙 고금리에 이용하고 있었던 만큼,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금리를 (일부) 우대해주고 있다"며 "최대한도가 300만원이라 (은행으로서도 부담 없이) 모두에게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카뱅과 케뱅이) 고신용자 마통발급을 중단해 (금리역전 등 차별적인 혜택을)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면서도 "중·저신용자 금리를 (과거보다) 낮추긴 했지만, 고신용자보다 저렴하게 (대출을) 준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