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성격·질환에 따른 운동 선택법
복부비만으로 고민이 많은 50대 중반의 K 씨. 키는 168㎝이며 몸무게는 79㎏ 정도로 한 눈에 봐도 체중 감량이 필요한 몸이다. 마음을 굳게 먹고 연초부터 피트니스센터에서 트레드밀을 열심히 타고, 근력운동까지 했다. 그런데 보름도 채 안돼 무릎이 아팠다. 너무 갑자기 많이 걸어서 무릎관절에 무리가 온 것이다. 결국 한 달만에 운동을 포기했다. 그러다가 요즘 MTB에 취미를 붙였다. 무릎도 아프지도 않고 유산소운동이라 체중 감량 효과도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자신에게 맞는 제대로 된 운동을 만난 것 같아 자전거를 탈 때면 신이 난다.
K 씨는 이전에도 여러가지 운동을 시도해 보았지만 포기한 적이 많았다. 요가도 해 보았지만 몸이 둔해 동작을 따라하기가 어려워 중간에 그만 뒀다. 회사 내 볼링 동아리에 참가도 해 보았지만 여러 사람과 어울리는 성격이 아니라 조금 하다가 말았다. 몸에 맞는 운동을 고르지 못해 시행착오를 거듭한 것이다. 자신의 체질이나 성격에 맞는 운동을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하체 발달한 음인, 상체 많이 쓰는 배드민턴
상체 발달한 양인, 108배·자전거타기 좋아
외향적 성격, 볼링·야구·농구 등 적합
내성적 성격, 요가·수영·헬스자전거
고혈압·당뇨병 환자 근력운동 피해야
호흡기질환땐 운동 중간중간 휴식 꼭
골다공증엔 체조·테니스 등 효과
■체질에 따른 운동법
하체가 발달하고 상체가 약한 사람은 어깨가 구부정한 경우가 많다. 태음인 소음인 등 음인이 여기에 해당된다.
음인은 상체를 많이 움직이는 배드민턴이나 테니스가 추천된다. 발뒤꿈치는 들고, 고개를 약간 뒤로 젖히고, 팔을 머리 이상으로 올리는 PT체조를 수시로 해주는 것이 좋다. 하이힐을 신으면 흉곽이 펴지고 가슴을 앞으로 내미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끔은 높은 굽의 신발을 신는 것도 괜찮다.
끌어모으는 기운은 강하나 뿜어내는 기운이 약하므로 노래방에서 신나게 노래 부르거나, 산에 올라가서 크게 소리지르는 것도 좋은 운동이 된다.
상체가 발달하고 하체 근력이 약한 태양인이나 소양인들은 108배나 자전거타기를 권한다. 음인에 비해 순발력과 에너지가 높은 편이므로 여름철에 너무 무리해서 땀을 많이 흘리면 진액이 부족해지므로 주의한다. 기공이나 태극권 등 명상과 결합된 정적인 운동 비율을 높이는 것이 좋다.
요가는 체질에 따라 필요한 동작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코브라 동작은 음인, 쟁기 자세는 양인에게 더 맞을 수 있다.
여름이라고 운동을 안 할 수는 없다. 이전에는 더위를 별로 타지 않다가 최근에 부쩍 심하게 탄다면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므로 기허로 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운동보다는 휴식이 좋고, 음식이나 한약으로 기운을 보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땀을 많이 흘리는 체질도 있다. 태음인은 적당히 땀을 흘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음인이 땀을 많이 흘리면 기운이 많이 처지기 때문에 운동강도를 조절한다.
■성격에 따른 운동법
![]() |
운동도 궁합이 맞아야 한다. 자기 성격과 체질에 맞지 않는 운동은 조금 하다가 중간에 그만두는 일이 많다. |
![]() | ||